<!doctype html>
오늘의 월스트리트: AI 주식부터 금값 폭락까지, 시장의 모든 것!
1. 오늘 뉴욕 증시, 왜 혼조세를 보였을까요?
오늘 뉴욕 증시는 다우지수는 상승했지만 나스닥은 하락하며 혼조세로 마감했어요 . 장 초반에는 GM, 코카콜라, 3M 같은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서 분위기가 좋았죠 . 이들 소비재 기업의 실적은 미국 소비가 여전히 튼튼함을 보여줬어요 .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불발 가능성을 언급하자 상승세가 꺾였어요 . 또한, 월스트리트 저널의 샘 올트먼 관련 기사로 AI 주식이 하락하며 나스닥이 밀렸답니다 . 다우지수는 0.47% 올랐지만, S&P 500 지수는 보합으로 마감했어요 .
특히 GM은 판매량 증가와 손실 전망치 하향으로 주가가 15%나 뛰었죠 . 코카콜라는 가격 인상에도 판매량이 늘어 매출이 5% 증가했고 , 3M 역시 빠른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들 기업은 소비자 회복력을 강조했어요 .
2. 미국 국채 금리가 떨어지는 이유, 중앙은행의 다음 움직임은 무엇일까요?
국채 금리가 계속 내려가는 이유는 월가가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기 때문이에요 . 바클레이즈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면 국채 수익률이 함께 하락하는 전형적인 패턴이 나타날 것으로 봐요 .
작년과 달리 올해는 내년 GDP 성장률 전망이 낮고 추가 부양책 가능성이 적어, 과거처럼 장기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요 . 또 다른 큰 이유는 유가 하락이에요 . 유가가 50달러 후반까지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줄어들었죠 .
야데니 리서치 설립자는 유가 하락과 페드의 금리 인하가 겹치면 10년물 수익률이 3.75%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봤어요 . 유가와 장기 금리는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에요 .
3. 트럼프 발언 한마디에 주가가 출렁인 이유는요?
오후에 다우지수가 1% 가까이 오르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직후 주가가 꺾였어요 .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대해 "어쩌면 회담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죠 .
이 발언은 정상회담에 대한 불확실성을 시장에 던져주었고, 결국 시장은 힘을 잃고 하락세로 돌아섰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에 대해서도 민주당을 비판하며 "민주당 셧다운"이라고 불렀어요 .
BCA 리서치는 11월 주지사 선거 결과가 양당에 불리하게 나오지 않는다면, 양당이 심각하게 협상할 가능성이 낮아 셧다운이 11월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어요 .

4. 샘 올트먼 한 명 때문에 AI 주식이 흔들린다고요?
오늘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AI 주식들이 부진했던 주된 원인은 월스트리트 저널의 샘 올트먼 관련 기사 때문이었어요 . 올트먼은 무한한 컴퓨팅 성능 확보 비전을 위해 칩 회사들을 경쟁시키며 초대형 계약을 따냈죠 .
오픈 AI는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과 대규모 계약을 맺었고, 특히 엔비디아로부터 1천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어요 . 올트먼은 구글 TPU 사용 계획을 흘려 엔비디아 CEO를 자극했고, 결국 투자를 받아냈다고 해요 .
결과적으로 미국 경제의 광대한 영역이 오픈 AI에 얽매여 오픈 AI가 사실상 대마불사가 되었다는 지적이 나왔어요 . 이들은 스타트업인 오픈 AI의 성공에 배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공급 과잉으로 궤도를 벗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고 , TSMC CEO도 올트먼이 너무 공격적이라 믿기 어렵다고 말했어요 . CNBC 평론가는 올트먼이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인물이며 실패 시 산업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평가했답니다 .
5. 금값이 10년 만에 가장 크게 폭락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제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던 금값이 하루 만에 5% 하락했어요 . 이는 2013년 이후 10여 년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었죠 . 은 가격도 6% 넘게 떨어졌고 금 광산주도 9%씩 급락했어요 .
월가에서는 금값이 단기적으로 과열되어 건강한 조정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어요 . 투기 세력이 몰렸던 자산들이 흔들리고 금도 단기에 너무 올라 조정을 거쳐야 시장이 건강해진다는 분석이에요 .
하지만 금값이 계속 떨어질 거라는 의견은 많지 않아요 . 삭소뱅크 전략가는 기저 수요가 하락 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봤어요 . 반면, 캐피탈 이코노믹스는 금 가격이 공정 가치를 넘어 거품 영역에 들어섰을 수 있다고 경고했답니다 . 특이한 점은, 금 하락 시 주식으로 돈이 몰려야 하는데 지금은 주가와 금 가격이 같이 움직인다는 점이에요 .

6. 넷플릭스 실적은 왜 예상보다 부진했을까요?
장 마감 후 공개된 넷플릭스 실적은 매출은 괜찮았으나 이익이 크게 떨어졌어요 . 그 이유는 브라질 세무당국과의 마찰 때문이었죠 . 세무 조사 벌금으로 영업 이익률이 예상치(31.5%)보다 낮은 28%로 떨어졌어요 .
넷플릭스 측은 세무 비용이 없었다면 이익률이 더 높았을 것이며, 이 문제가 향후 실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넷플릭스는 회원 증가, 가격 인상, 광고 매출 증가 추세에 힘입어 4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어요 .
하지만 주가는 이미 많이 오른 상태라 실적 발표 후 5.51% 하락했답니다 . 한편,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는 회사 전체 매각을 검토 중이며, 인수 입찰 가격은 주당 21달러에서 30달러 사이로 예상돼요 .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WBD 가치를 주당 30달러 이상으로 보았고, 웰스파고는 목표가를 21달러로 상향 조정했어요 .
7. 숨겨진 AI 수혜주와 저평가된 종목은 무엇일까요?
AI 주식들이 과대평가된 가운데, 희귀한 AI 수혜주로 Advanced Drainage Systems (ADS)가 주목받고 있어요 . 이 회사는 플라스틱 빗물 처리 시스템 분야 선두주자이며, 북미에서 두 번째로 큰 재활용 회사랍니다 .
ADS의 장점은 유연성이에요 . 유가에 따라 신품 수지와 재활용 수지를 번갈아 사용해 마진을 확보하죠 . 유가 변동에 관계없이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인 셈이에요 . 이 회사는 현재 주가 대비 20% 정도의 상승 여력이 예측돼요 .
또한, 행동주의 펀드 스타벌드 밸류가 투자한 종목도 주목받고 있어요 . 빌 홀딩스는 내재 가치보다 50%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며, 스타벌드 담당자가 이사회에 합류해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에요 . 플루얼 코퍼레이션은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와 인프라 투자 급증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으로 보여요 .
8. AI 시대, 태양광 주식과 애플의 미래는 밝을까요?
AI 전력 수요 급증으로 태양광 주식 두 종목이 상향 조정되었어요 . 바로 썬런(Sunrun)과 넥스트래커(Nextracker)입니다 . 트럼프의 반재생에너지 정책에도 불구하고 AI 전력 수요 증가로 이 주식들이 급등하고 있어요 .
CD는 넥스트래커 목표 주가를 66달러에서 114달러로 올려 28%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았어요 . 넥스트래커는 내년부터 주주들에게 자본을 환원할 잠재력이 있어 새로운 투자자들을 끌어들일 것으로 예상돼요 . 또한, 45억 달러 이상의 미처리 잔고가 중기 수익 가시성을 높여주고 있죠 .

- 애플 역시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에 가까워지고 있어요 . 아이폰 17에 대한 강력한 수요 징후와 AI 제품군 개선이 주요 상승 요인이에요 . 웹부시는 월가가 아이폰 17 사이클을 과소평가한다며 목표 주가를 310달러로 제시했어요 . 전 세계 아이폰 중 3억 1,500만 대가 지난 4년간 업그레이드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
월가는 애플의 전략적 AI 로드맵 공개를 기다리고 있어요 . 애플은 강력한 생태계와 디자인 덕분에 AI 기능을 모든 기기에 원활하게 통합할 유일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받고 있답니다 . 골드만삭스도 서비스 매출 성장을 예상하며 목표 주가를 279달러로 상향 조정했어요 .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