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7월 2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마감 시황
반도체 충격… 기술주 조정, 다우·S&P는 사상 최고
2025년 7월 22일(화) 미국 뉴욕증시는 뚜렷한 업종 차별화 속에서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와 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하락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섹터는 관세 리스크와 수요 둔화라는 이중 악재에 직격탄을 맞으며 시장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pt 기준)
지수명 | 종가 | 전일 대비 | 등락률 | 특징 요약 |
---|---|---|---|---|
S&P 500 | 6,309.59 | +3.99 | +0.06% | 사상 최고치 경신, 방어적 섹터 주도 |
Dow Jones | 44,502.19 | +179.12 | +0.40% | 경기민감주 중심 강세 |
Nasdaq Composite | 20,892.69 | -81.49 | -0.39% | 반도체 약세, 기술주 조정 |
Russell 2000 | 2,148.85 | +21.88 | +1.03% | 중소형주·소비주 강세 |
VIX (변동성지수) | 16.50 | -0.15 | - | 투자심리 안정 반영 |
* 섹터별 흐름 요약
- 방위산업·주택건설·전력망 관련주는 실적 호조로 상승
- 기술주 중 일부는 강세 유지했으나, 반도체주는 급락
- 유통/밈 주식 열풍으로 일부 소형주 강세
- 헬스케어, 소비재, 에너지 섹터도 일부 종목 강세
* 직격탄 맞은 반도체, 줄줄이 '급락'
AI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시장은 현실적인 관세 리스크와 전방 산업의 수요 회복 지연에 부딪히며 약세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 NXP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부진한 실적 전망을 발표하며 하락세
- 관세가 투자 위축 요인이라는 경영진 언급 지속
- ‘내용물 관세’ 영향으로 반도체가 포함된 완제품 가격에 부담 발생
대표 반도체주 하락폭
종목 | 종가 (USD) | 전일 대비 | 하락률 |
---|---|---|---|
Nvidia (NVDA) | 167.03 | -4.31 | -2.52% |
Broadcom (AVGO) | 1,464.75 | -50.61 | -3.34% |
Micron (MU) | 153.27 | -5.63 | -3.54% |
* 오늘의 주요 종목 및 시장 동향
- Tesla (TSLA): 장 초반 일론 머스크의 집중 발언으로 상승, 장 마감에는 정치적 리스크와 판매 감소 소식으로 일부 반납
- Kohl's: +40% 폭등, 밈 주식 열풍 재점화
- Target, Macy's: 유통업종 동반 강세
* 대표 기술주 종가 요약
종목 | 종가 (USD) | 전일 대비 | 등락률 | 특징 |
---|---|---|---|---|
Apple (AAPL) | 214.40 | +1.94 | +0.91% | 실적 기대감 |
Microsoft (MSFT) | 505.27 | -4.71 | -0.93% | 차익실현 매물 출회 |
Alphabet (GOOGL) | 191.34 | +1.24 | +0.65% | 클라우드 성장 기대 |
Tesla (TSLA) | 332.11 | +3.80 | +1.16% | 실적 발표 대기 |
Palantir (PLTR) | 149.07 | -2.73 | -1.80% | AI 관련주 피로감 |
* 금리 및 외환 시장 동향
- 10년물 국채 금리 4.34%, 3bp 하락
- 9월 FOMC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57.9%
- 달러는 단기 반등 가능성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약세 흐름 지속 전망
* 총평 및 전략적 시사점
- 지수는 고점이나 종목 간 차별화 심화
- 반도체 섹터 단기 리스크로 비중 조정 고려
- AI/클라우드 중심의 구조적 성장 지속
-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배당주·헬스케어·리츠에 관심 확대
✒️ 월가 주식 전문가가 전하는 마켓 인사이트
시장은 언제나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오늘과 같은 혼조세는 오히려 다음 상승의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지수의 등락만을 좇기보다는, 기업의 펀더멘털과 방향성 있는 투자 전략이 더욱 중요합니다.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