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코인+삶)

8월 11일 미국증시 마감시황 & CPI 월가 전략

by 부자수퍼리치 2025. 8. 12.
반응형

 

데일리 마켓 인사이트

8월 11일 미국 증시 마감 시황 & CPI 앞둔 월가 전략

작성일: 2025-08-12 · 카테고리: 미국 시황 CPI 투자전략

■ 주요 지수 마감

지수 마감표
지수 종가 등락폭
다우존스 산업평균 43,975.09 ▼ 0.45%
S&P 500 6,373.45 ▼ 0.25%
나스닥 종합 21,385.40 ▼ 0.30%
러셀 2000 2,216.51 ▼ 0.09%
VIX 변동성지수 16.25 ▲ 7.26%
미 10년물 국채금리 4.27%

• CPI 발표 전 관망 · • 변동성 지수 반등 · • 금리 하락·달러 강세

 

■ 오늘장 핵심 포인트

  • 미중 관세 휴전 90일 연장(현 수준 유지, 추가 협상)
  • CPI 상승 전망(총 2.8~3.1%, 근원 3.1%)
  • 반도체 정책 리스크(중국향 매출 15% 납부 합의 보도)
  • 자동차·소비·방어주 강세 vs 소프트웨어 약세
  •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86.4%(노동지표 부진)
 

■ 대표주 마감 현황

대표주 종가 및 등락
종목 종가(USD) 등락 코멘트
엔비디아(NVDA) 182.06 ▼ 0.35% 중국 매출 15% 납부 합의 보도, 마진 부담 우려
마이크로소프트(MSFT) 521.77 ▼ 0.05% AI·클라우드 기대 vs 거시 불확실성
알파벳(구글, GOOGL) 201.00 ▼ 0.21% AI 서비스 확장에도 CPI 앞 관망
팔란티어(PLTR) 182.68 ▼ 2.29% 변동성 확대, 정부 계약 모멘텀 대기
애플(AAPL) 227.18 ▼ 0.95% 대규모 투자와 관세 이슈, 기술적 숨 고르기
테슬라(TSLA) 339.03 ▲ 2.85% 로봇택시·FSD 기대, EV 크레딧 종료 전 수요

• 종가/등락은 마감 기준 수치이며, 사후 배당/분할·시간외 거래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섹터별 흐름과 해석

□ 반도체

  • 정책 리스크가 총마진(GM%)에 직결 → 단기 밸류에이션 상단 제한
  • 가이던스 상향/현금흐름 가시성 높은 종목에 상대 강세
  • 전략: 중국 비중 낮고 마진 방어 확실한 종목 선별, ETF 옵션으로 변동성 관리

□ 자동차·소비

  • 테슬라 상승: 로봇택시/FSD 기대 + 세액공제 종료 전 수요
  • 루시드·리비안·니오 동반 강세
  • 전략: CPI 둔화 시 소형·내수 소비주로 랠리 확산 대비

□ 방어주·헬스케어

  • 필수소비재·헬스케어가 하방 방어
  • 전략: 4%대 금리 구간에서 디비던드 성장/프랜차이즈 파워 중심

□ 소프트웨어·AI

  • 일부 대형 소프트웨어, AI 잠식 우려로 약세
  • 양자컴퓨터 테마 혼조(일부 급등·일부 급락)
 

■ 채권·환율·원자재

  • 미 10년물 4.27%, 30년물 4.84%: 위험회피와 안전자산 선호
  • 달러인덱스 98.41(+0.42%): 달러 강세 재확인
  • 금 3,400달러선: 관세 비적용 발언 이후 조정
 

■ 연준 정책 시각

  • 9월 금리 인하 확률 86.4%
  • 연말까지 최대 3회 인하 가능성
  • CPI가 예상을 상회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확대
 

■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 시나리오 A: 헤드라인 ≤ 2.8% & 코어 ≤ 0.3%

  • 리스크온 재개: 소형주, 경기순환·소비 업종 랠리
  • 반도체·신흥성장주 반등 가능성

□ 시나리오 B: 헤드라인 > 2.8% 또는 코어 > 0.3%

  • 방어주·메가캡 비중 확대
  • 중국 익스포저 높은 종목 비중 축소 및 헤지
 

■ 결론

정책·물가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은 숨 고르기를 택했다. 반도체의 정책 노이즈는 마진을 직접 압박하며 단기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 CPI 이후 리스크온/오프 전환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퀄리티 중심 코어 유지 + 이벤트 대응형 로테이션을 병행하는 접근이 합리적이다.

본 콘텐츠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수치·차트는 마감 기준이며 향후 정정될 수 있습니다.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