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캡레이트 쉽게 (2025)
한 줄 정의 — 캡레이트(Cap Rate, 자본환원율)은 부동산이 벌어들이는 NOI(순영업이익) 대비 자산가치의 비율입니다. 낮아질수록(압축) 같은 NOI의 가치가 커지고, 높아질수록 가치는 줄어요.
1) 공식과 직관
핵심 공식 — Value = NOI ÷ Cap Rate
- 캡레이트는 말 그대로 수익률이므로 %, 예: 5%.
- NOI는 임대수익−운영비(세전, 이자 전)로 계산.
- 리츠·부동산 비교에 쓰는 가장 기본의 언어입니다.
2) 숫자 예시(한눈에)
NOI | Cap | Value(=NOI÷Cap) | 변화율 |
---|---|---|---|
100 | 6.0% | 1,667 | — |
100 | 5.0% | 2,000 | +20.0% |
100 | 4.5% | 2,222 | +33.3% |
역산 팁 — 시장가격과 NOI가 있을 때 Cap = NOI ÷ Value로 암묵적 캡레이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3) 캡레이트를 움직이는 것들
- 장기금리/국채: 수익률곡선과 무위험수익률이 기준을 만듭니다.
- 스프레드: 부동산 리스크(공실·유동성)만큼 국채금리 위에 가산금리가 붙습니다.
- 성장/인플레 기대: 임대료 인상 여력·인덱스 조항(CPI 연동)이 기대되면 캡레이트가 더 낮게 형성될 수 있어요.
- 자금여건: 대출/회사채 시장이 열리면 거래가 늘고 캡레이트 압축에 우호적.
4) 리츠 투자 체크리스트
- 부채 만기구조: 고정금리 비중, 만기벽 유무, LTV, 이자보상배율.
- 운영지표: 점유율, 동일자산 NOI, 임대차 평균 잔존기간(WALE).
- 포트폴리오 질: 입지·테넌트 분산, 갱신률/인덱스 조항.
- 배당의 질: FFO/AFFO 대비 배당성향, 현금 배당 비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