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8월 1일 미국 증시 마감 종합 분석
고용 충격·관세 리스크…연준 9월 빅컷까지 거론
미국 증시 주요 지수 마감
지수 | 종가 | 변동폭 | 등락률 |
---|---|---|---|
Dow Jones | 43,588.58 | −542.40pt | −1.23% |
S&P 500 | 6,238.01 | −101.38pt | −1.60% |
Nasdaq Composite | 20,650.13 | −472.32pt | −2.24% |
Russell 2000 | 2,166.78 | −44.87pt | −2.00% |
출처: Investing.com
증시 급락 배경
1. 고용지표 충격
- 7월 신규 고용: 73,000명 (예상치 100,000명 대비 부진)
- 5·6월 고용치 총 26만 명 하향 수정
- 실업률 4.2%, 임금상승률 3.7% (인플레이션율 2.4% 상회)
- →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80% 이상 반영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발표
- 70여 개국 대상, 최대 41% 관세
-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급등 → 투자심리 악화
3. 금융시장 반응
- 2년물 국채 금리 28bp 폭락 (2023년 3월 이후 최대폭)
- 달러 약세, VIX 급등 → 위험 회피 심리 확대
연준 정책 전망
- 월러·보우먼 이사: 선제적 금리 인하 주장
- 해맥핵 총재: 노동 시장은 여전히 건강하다며 신중론 유지
- 스왑시장: 9월 인하 확률 80% 반영
- 일부 전문가: 50bp 빅컷 가능성까지 언급
주요 테크 종목 종가 및 분석
종목 | 종가 (USD) | 등락률 | 분석 포인트 |
---|---|---|---|
NVIDIA (NVDA) | 173.72 | −2.33% | AI 수요 기대에도 무역 불확실성·성장주 약세에 조정. |
Tesla (TSLA) | 302.63 | −1.83% | 전기차 수요는 견조하지만 관세·금리 부담으로 약세. |
Alphabet (GOOGL) | 189.13 | −1.44% | 광고·클라우드 둔화 우려 속에서도 AI 성장 잠재력 유지. |
Apple (AAPL) | 202.38 | −2.50% | 아이폰 판매 호조에도 관세 비용 급증 전망 부담. |
Microsoft (MSFT) | 524.11 | −1.76% | 전일 사상 최고가 이후 조정, 클라우드 인프라 성장 기대 지속. |
Palantir (PLTR) | 154.27 | −2.18% | 방산·정부 AI 수요에도 불구, 차익실현 매물 압박. |
특징주 동향
- Amazon (AMZN): −8.3%, 클라우드 성장 둔화 전망으로 폭락
- Coinbase (COIN): −17%, 암호화폐 거래 둔화에 따른 실적 쇼크
- Reddit (RDDT): +17%, AI 광고 성장·흑자 전환 기대
- First Solar (FSLR): +5.3%, 긍정적 실적·전망 상향
- Cboe Global Markets (CBOE): +2.8%, 강한 거래량에 초과 상승
투자 포인트 제안
1.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대비
- 채권 ETF (TLT, IEF) 포지셔닝
- 고배당 방어주 (유틸리티·필수소비재) 주목
2. 관세 리스크에 따른 포트폴리오 재조정
- 피해 업종: 반도체, 자동차, 럭셔리 소비재
- 수혜 업종: 내수 소비재, 재생에너지, 방산
3. 기술주 차별화 전략
-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AI·클라우드 장기 성장 스토리 유지
- 애플·알파벳: 안정적 현금흐름 기반
- 테슬라: 공급망 변수 있지만 장기 성장 견조
- 팔란티어: 지정학 리스크 확대 국면 수혜
4. 변동성 확대 대응
- VIX ETF (VIXY) 단기 헷지
- 원자재·금으로 달러 약세 방어
- 암호화폐 관련주: 유동성 확대 시 반등 여지
5. 8~9월 핵심 체크포인트
- 8월 7일 관세 발효: 공급망·물가 지표 영향
- 9월 연준 FOMC: 빅컷 여부 확인
- 기업 실적 2차 업데이트: AI·클라우드 가이던스 주목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
반응형
◀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