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NVIDIA)는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5월 28일(미국 현지 기준) 장 마감 이후 발표합니다.
AI 반도체 시장의 핵심 기업인 만큼 이번 실적 발표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 미래 성장성 전체를 가늠하는 분기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항목 | 예상 수치 | 전년 동기 대비 |
---|---|---|
매출 | 433억 달러 | +66% 증가 |
EPS | 0.88달러 | +400% 이상 |
데이터센터 부문 | 392억 달러 | +74% 증가 |
게이밍 부문 | 22.8억 달러 | 소폭 증가 |
중국 매출 | 62억 달러 | +150% 폭증 |
미국 매출 | 216억 달러 | - |
H20 수출 금지 손실 | 약 55억 달러 | - |
※ 본 수치는 실적 발표 전 컨센서스 기준으로, 실제 실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공급되는 블랙웰 AI 칩은 연산 능력, 전력 효율, 메모리 대역폭에서 획기적인 진화를 이뤘습니다. 하이퍼스케일러(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가 대량 구매를 계약하면서, 데이터센터 교체 수요가 실적 상승의 핵심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단순 칩 제조를 넘어 산업 자동화와 로봇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Omniverse 플랫폼'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제조 로봇의 시뮬레이션, 교육, 배치까지 가상 공간에서 완성합니다.
기업 | 활용 기술 |
---|---|
폭스콘 | Isaac Lab, 로봇 시뮬레이션 및 공정 최적화 |
TSMC | 공정 시뮬레이션(Q-RISO), CUDA-X |
델타 일렉트로닉스 | Isaac Sim으로 산업용 로봇 최적화 |
테크맨 로봇 | Isaac GR-5TNO로 오류율 50% 감소, 속도 8배 향상 |
박스링크 | 자동 조립라인 가상 시뮬레이션 및 배치 검증 |
지표 | 수치 | 해석 |
---|---|---|
Forward P/E | 31배 | 섹터 평균 대비 47% 프리미엄 |
5년 평균 P/E | 47배 | 과거 대비 저평가 |
PEG | 0.92 | 성장률 감안 시 저평가 가능 |
엔비디아는 AI 칩 시장에서의 절대적 우위는 물론, 로봇 기술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라는 차세대 성장 엔진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투자자에게는 단기 주가 흐름보다, '성장 구조가 여전히 작동 중인지'가 더욱 중요합니다.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블로그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