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5일 미국 증시는 주요 지수와 대표 종목이 일제히 하락하며 투자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특히 테슬라가 하루 만에 14% 이상 급락하며 시장 전체에 충격을 준 가운데, 정치 리스크와 경제 지표 부진, 그리고 개별 기업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전형적인 ‘다중 요인 하락’ 국면이 전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등 주요 지수 흐름, 대표 종목의 시황, 공통 및 추가 하락 요인 분석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지수명 | 마감가 | 등락폭 | 변동률 |
---|---|---|---|
S&P 500 | 5,939.30 | -31.51 | -0.53% |
나스닥 종합지수 | 19,298.45 | -162.04 | -0.83% |
다우존스 산업평균 | 42,319.74 | -108.00 | -0.25% |
러셀 2000 | 2,097.35 | -1.13 | -0.05% |
장 초반에는 반등 흐름이 있었으나, 정치 불확실성과 고용지표 실망이 장 막판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종목명 (티커) | 종가 (USD) | 등락폭 | 등락률 | 주요 이슈 |
---|---|---|---|---|
애플 (AAPL) | 200.63 | -2.19 | -1.08% | 외부결제 소송 여파 지속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467.68 | +3.87 | +0.83% | AI 사업 확대 기대 |
엔비디아 (NVDA) | 139.99 | -1.93 | -1.36% | 반도체 차익 실현 매물 |
알파벳 (GOOGL) | 168.21 | +0.16 | +0.10% | 광고·클라우드 실적 견조 |
아마존 (AMZN) | 207.91 | +0.68 | +0.33% | AWS 성장 반등 기대 |
메타 (META) | 684.62 | -3.33 | -0.48% | AI 공개 모델 반영 후 숨 고르기 |
테슬라 (TSLA) | 284.70 | -47.35 | -14.26% | 머스크–트럼프 갈등, 유럽 판매 부진 |
룰루레몬 (LULU) | 330.78 | -4.58 | -1.36% | 미국 내 매출 감소, 실적 실망 |
팔란티어 (PLTR) | 119.91 | -10.06 | -7.74% | 디지털 신원 정책 관련 정치 논란 |
요인 | 주요 사례 |
---|---|
정치 리스크 | 팔란티어 – 트럼프를 위한 디지털 신원 정책 중심 기업, 공화당 반발 |
통상 정책 | 트럼프의 관세 강화 → 구조조정, 고용 부담 가중 |
기업 실적 | 룰루레몬 – 미국 내 매출 감소로 실적 실망 |
소송 이슈 | 애플 – 앱스토어 외부결제 허용으로 수익성 우려 |
2025년 6월 현재 미국 증시는 복합적인 리스크 요인이 동시 다발적으로 작용하는 전형적인 변동성 고조 국면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 고용 둔화, 기업 개별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이 겹치며, 투자자들은 지표·정책·실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단기적 반등 가능성은 존재하나, 중장기적으로는 방향성을 결정할 거시지표와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블로그에 다른 글도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