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부자 수퍼리치 | 카테고리: 글로벌 경제 · 자원 패권 · 투자 인사이트
1. 지금 왜 희토류인가? 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희토류(Rare Earth)’는 단지 금속이 아니라, 현대 문명의 핵심 기반입니다. 이름은 ‘드문 흙’이지만, 정작 희귀하지는 않습니다. 전기차, 반도체, 인공지능, 군사 무기체계까지, 오늘날의 첨단 기술은 이 한 줌의 자원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희토류 시장은 약 17조 원 규모로, 애플 아이폰 연매출의 10%도 되지 않지만, 기술 산업의 목줄을 쥐고 있어 '첨단 산업의 비타민'이라 불립니다.

2. 희토류는 왜 대체 불가능한가?
희토류는 총 17개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원소는 독특한 전자적·광학적 성질을 가집니다. 그중 네오디뮴은 세계에서 가장 강한 자석을 만들어내고, 유로퓸·터븀은 정확한 색을 구현하는 발광 특성을 지녔습니다. 이들은 스마트폰, LED, 전기차 모터, MRI 장비, 레이저 유도 무기까지 곳곳에 쓰입니다.
또한,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 덕분에 우주산업과 극한 환경 장비에도 필수입니다. 이렇게 정교하고 고성능이 요구되는 기술에서 희토류는 대체가 거의 불가능한 자원입니다.
3. 중국은 어떻게 희토류 시장을 장악했나?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70%, 정제의 9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희토류는 정제 과정에서 강산, 방사능, 독성 폐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은 환경 문제로 산업을 포기했고, 중국은 이를 전략적으로 흡수해 시장을 독점했습니다.
1990년대 미국 최대 희토류 광산인 '마운틴 패스'가 중국의 저가 공세로 폐쇄됐고, 그 공백을 중국이 완전히 차지했습니다. 희토류 1톤을 정제할 때마다 발생하는 2,000톤의 폐수는 중국이 감당한 환경 비용이기도 합니다.
4. 덩샤오핑의 전략적 한 수, 희토류 무기화
1992년 덩샤오핑은 “중동에는 석유가 있고,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희토류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 기반을 끌어올리고, 자원 외교의 카드로 삼았습니다. 실제로 중국은 희토류를 가공한 형태로만 수출하며, 원자재뿐 아니라 부가가치까지 통제하는 전략을 펼쳤습니다.
5. 무기화된 희토류, 미국은 어떻게 반격했나?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전면 차단했습니다. 일본 제조업은 큰 타격을 입었고, 이후 미국도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MP 머티리얼스(MP Materials) 지분을 확보하고, 그린란드 희토류 광산 인수도 추진했습니다. 또 희토류 수입 품목에 100~150% 관세를 부과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6. 서방 세계, '탈중국'을 시도하다
- 공급망 다변화: 미국은 브라질, 호주와 협력하고, 일본은 베트남과 연계 중입니다.
- 재활용 전략: ‘도시광산’을 통해 전자기기에서 희토류 회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정제 기술 확보: 한국, 유럽, 일본은 정제 설비와 고순도 기술을 자체 확보하려는 노력을 강화 중입니다.
하지만 광산 개발은 수년이 걸리고, 정제 설비는 막대한 비용이 들며, 아직까지 중국의 기술 장벽은 높습니다.

7. 기술 발전 이면의 그림자, 환경 재앙
중국 내몽골의 바우터우는 세계 희토류의 3분의 2를 생산하는 지역입니다. 그러나 이곳에는 ‘검은 호수’라 불리는 폐기물 저수지가 존재하며, 반경 수 킬로미터 내에서 암, 불임, 기형아 출산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방사선 수치는 기준치의 10~20배를 넘고, 주민들은 물도 마실 수 없습니다.
이는 단지 중국만의 문제가 아닌, 값싼 희토류를 당연시한 글로벌 수요 구조의 결과이기도 합니다.

8. 투자 기회는 어디에 있을까?
이제 희토류는 기술 패권 전쟁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주요 투자 유망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MP 머티리얼스, 크리티컬 메탈스 등 희토류 독립 기업
- 한국: 페라이트 자석 대체 기술을 보유한 유니온머티리얼, 노바텍, 삼화전기
특히 페라이트는 일부 분야에서 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어, 향후 희토류 대체 소재 관련 기업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다른 글을 더 보고 싶다면?
🏠 블로그 홈으로 이동